"ETF, 투자 대세됐다"…도입 20년 만에 200배 커져
작성자 정보
- 머니앤머니 작성
- 작성일
본문
개인, 코스피 주식보다 ETF 더 샀다
최근 6개월간 6.9조 순매수
ETF 20주년…'투자 대세'로최근 6개월간 개인투자자가 순매수한 상장지수펀드(ETF) 규모가 유가증권시장 주식 순매수 규모를 넘어섰다.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펀드보다 간편하고 개별 주식보다 안전한 ETF의 장점이 부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지난해 70조원을 돌파한 국내 ETF 순자산 규모가 이르면 내년께 1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18일 기준) 개인투자자들은 국내 증시에서 6조9495억원에 달하는 ETF를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유가증권시장 순매수 금액(5조9847억원)을 훌쩍 뛰어넘은 수치다. ETF 순매수 규모가 유가증권시장을 제친 것은 ETF가 국내 자본시장에 도입된 2002년 이후 처음이다.
업계에선 ETF 대중화가 본격화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2017년 35조6109억원이던 ETF 전체 순자산 규모는 5년 새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71조2578억원까지 급증했다. ETF 도입 첫해와 비교하면 순자산 규모가 200배 수준으로 불어났다. 도입 첫해 불과 4개에서 출발한 ETF 종목은 현재 547개로 늘었다. 최근 5년 새 200개 넘는 종목이 상장돼 투자자의 선택 폭이 넓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ETF는 편리함과 안전성을 두루 갖춘 투자 수단으로 입소문을 타고 있다. 개별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한 데다 펀드와 같은 분산투자 효과를 누릴 수 있어서다. 최근에는 다양한 테마를 내세운 ETF가 쏟아지면서 일상의 모든 것을 투자 대상으로 탈바꿈시켰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운용센터장은 “새롭게 열리고 있는 연금시장에서도 ETF가 주목받고 있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성장 속도라면 전체 순자산 규모가 이르면 내년께 100조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2002년 국내 자본시장에 처음 도입된 ETF는 오랜 무관심에서 벗어나 최근 2~3년 새 무섭게 성장하고 있다. 실제 최근 6개월간(18일 기준) 개인투자자의 ETF 순매수 규모가 유가증권시장 주식 순매수 규모를 뛰어넘었을 정도다. 작년 하반기부터 상승세가 꺾인 국내 증시에서 개인투자자들이 주식보다 ETF에 더욱 주목한 셈이다.
출범 첫해 3444억원에 불과했던 ETF 순자산 규모는 현재 71조원까지 증가했다. 20년간 성장률은 200배에 달한다. 국내 ETF 시장은 도입 10주년을 맞은 2012년이 돼서야 순자산 10조원 문턱을 넘어섰다. 5년 뒤인 2017년 30조원, 2019년 50조원까지 순자산 규모가 커졌다. 주춤하던 ETF 시장은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변곡점을 맞았다. 코로나 폭락장 이후 주식시장에 뛰어든 개미(개인투자자)들이 본격적으로 투자에 눈을 뜨기 시작한 덕에 2021년 한 해에만 20조원 넘게 시장이 커졌다. 국내 시장에 상장된 ETF가 500개를 돌파한 시점도 이때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운용센터장은 “ETF 시장이 급성장한 배경에는 투자의 대중화라는 패러다임 변화가 맞물려 있다”고 평가했다.
처음부터 인기를 끈 것은 아니었다. 당시 ETF는 상장 전 공모청약을 했는데 KODEX200에 일반투자자가 청약한 금액은 11억원에 불과했다. 코스피200에 분산투자하기 위한 최소 금액인 10억원을 간신히 웃도는 수준이었다. ETF 개념이 생소한 데다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투자와 인덱스 펀드에 대한 관심이 저조한 탓이었다.
ETF 시장이 본격적으로 꽃피기 시작한 것은 2008년부터다.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로 시장이 급등락을 반복하면서 공모 펀드 투자자가 막대한 손실을 입자 투자자들이 실시간 거래가 가능한 ETF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가입과 해지가 쉽고 보수도 저렴하다는 점이 이들을 사로잡았다. 2009년과 2010년에는 아시아 최초로 인버스 ETF와 레버리지 ETF가 출시되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김남기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대표는 “2011년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과 2012년 유럽 재정위기로 변동성이 커지면서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의 부흥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이후 ETF 시장은 별다른 부침 없이 꾸준히 성장을 이어갔다. 스마트베타 ETF와 토털리턴(TR) ETF 등 다양한 ETF가 등장했다. 2020년 ETF가 대세 투자 수단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시장 수익률을 웃도는 ‘알파’를 원했던 개인 투자자들은 2차전지, 메타버스, 친환경 등 다양한 테마를 장착한 ETF에 열광했다. 펀드매니저 재량으로 추가 수익을 추구하는 액티브 ETF까지 가세하면서 시장은 더욱 커졌다.
전문가들은 국내 ETF 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대표는 “투자의 편리함부터 분산투자 효과까지 장점을 두루 갖춘 ETF 시장은 여전히 운용업계의 미래 먹거리”라며 “연금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을 시작한 만큼 ETF의 쓰임새가 다양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6개월간 6.9조 순매수
ETF 20주년…'투자 대세'로최근 6개월간 개인투자자가 순매수한 상장지수펀드(ETF) 규모가 유가증권시장 주식 순매수 규모를 넘어섰다.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펀드보다 간편하고 개별 주식보다 안전한 ETF의 장점이 부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지난해 70조원을 돌파한 국내 ETF 순자산 규모가 이르면 내년께 1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18일 기준) 개인투자자들은 국내 증시에서 6조9495억원에 달하는 ETF를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유가증권시장 순매수 금액(5조9847억원)을 훌쩍 뛰어넘은 수치다. ETF 순매수 규모가 유가증권시장을 제친 것은 ETF가 국내 자본시장에 도입된 2002년 이후 처음이다.
업계에선 ETF 대중화가 본격화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2017년 35조6109억원이던 ETF 전체 순자산 규모는 5년 새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71조2578억원까지 급증했다. ETF 도입 첫해와 비교하면 순자산 규모가 200배 수준으로 불어났다. 도입 첫해 불과 4개에서 출발한 ETF 종목은 현재 547개로 늘었다. 최근 5년 새 200개 넘는 종목이 상장돼 투자자의 선택 폭이 넓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ETF는 편리함과 안전성을 두루 갖춘 투자 수단으로 입소문을 타고 있다. 개별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한 데다 펀드와 같은 분산투자 효과를 누릴 수 있어서다. 최근에는 다양한 테마를 내세운 ETF가 쏟아지면서 일상의 모든 것을 투자 대상으로 탈바꿈시켰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운용센터장은 “새롭게 열리고 있는 연금시장에서도 ETF가 주목받고 있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성장 속도라면 전체 순자산 규모가 이르면 내년께 100조원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 수익률·다양성·편리함' 3박자
ETF 대중화 시대…순자산 100조 돌파 눈앞
‘21세기 최고의 금융신상품’. 1993년 미국 시장에 첫선을 보인 상장지수펀드(ETF)가 15년 만에 1000배 성장(순자산 기준)을 이뤄내자 월스트리트 곳곳에선 찬사가 쏟아졌다. 펀드와 같은 분산투자 효과를 누리면서 운용보수가 낮고, 주식처럼 거래가 편리하다는 장점 덕에 ‘무결점 투자상품’으로 평가받았다. 2002년 한국 시장에 상륙한 ETF가 국내 도입 20년 만에 새 역사를 쓰고 있다. 지난해 국내 ETF 시장이 전 세계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가운데 국내 개인투자자들이 주식(유가증권시장 기준)보다 ETF를 선호하는 역전 현상까지 벌어지고 있다.ETF 대중화 시대…순자산 100조 돌파 눈앞
전 세계 성장률 1위 한국
20일 글로벌 ETF 리서치기관 ETFGI에 따르면 작년 글로벌 ETF 시장 순자산 증가율은 29.5%로 집계됐다. 국내 ETF 시장 성장률은 42.1%로 전 세계 평균을 크게 웃돈다. ETF가 태동한 캐나다(35.1%), ETF 최대 시장 미국(33.1%)마저 제쳤다. 일본(1.3%)을 제외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상승률(28.3%)도 압도하고 있다.2002년 국내 자본시장에 처음 도입된 ETF는 오랜 무관심에서 벗어나 최근 2~3년 새 무섭게 성장하고 있다. 실제 최근 6개월간(18일 기준) 개인투자자의 ETF 순매수 규모가 유가증권시장 주식 순매수 규모를 뛰어넘었을 정도다. 작년 하반기부터 상승세가 꺾인 국내 증시에서 개인투자자들이 주식보다 ETF에 더욱 주목한 셈이다.
출범 첫해 3444억원에 불과했던 ETF 순자산 규모는 현재 71조원까지 증가했다. 20년간 성장률은 200배에 달한다. 국내 ETF 시장은 도입 10주년을 맞은 2012년이 돼서야 순자산 10조원 문턱을 넘어섰다. 5년 뒤인 2017년 30조원, 2019년 50조원까지 순자산 규모가 커졌다. 주춤하던 ETF 시장은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변곡점을 맞았다. 코로나 폭락장 이후 주식시장에 뛰어든 개미(개인투자자)들이 본격적으로 투자에 눈을 뜨기 시작한 덕에 2021년 한 해에만 20조원 넘게 시장이 커졌다. 국내 시장에 상장된 ETF가 500개를 돌파한 시점도 이때다. 김정현 신한자산운용 ETF운용센터장은 “ETF 시장이 급성장한 배경에는 투자의 대중화라는 패러다임 변화가 맞물려 있다”고 평가했다.
100조원 시장 넘본다
ETF가 세상에 처음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90년 캐나다였다. 3년 뒤 미국에서 ETF를 받아들였다. S&P500지수를 추종하는 ‘SPDR S&P500 ETF(티커명 SPY)’가 시작이었다. 국내에 ETF가 도입된 것은 그로부터 9년이 지난 2002년이다. 삼성자산운용(당시 삼성투신운용)의 ‘KODEX200’을 비롯해 코스피200지수와 코스피50지수를 추종하는 ETF 4종이 상장했다.처음부터 인기를 끈 것은 아니었다. 당시 ETF는 상장 전 공모청약을 했는데 KODEX200에 일반투자자가 청약한 금액은 11억원에 불과했다. 코스피200에 분산투자하기 위한 최소 금액인 10억원을 간신히 웃도는 수준이었다. ETF 개념이 생소한 데다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투자와 인덱스 펀드에 대한 관심이 저조한 탓이었다.
ETF 시장이 본격적으로 꽃피기 시작한 것은 2008년부터다.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로 시장이 급등락을 반복하면서 공모 펀드 투자자가 막대한 손실을 입자 투자자들이 실시간 거래가 가능한 ETF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가입과 해지가 쉽고 보수도 저렴하다는 점이 이들을 사로잡았다. 2009년과 2010년에는 아시아 최초로 인버스 ETF와 레버리지 ETF가 출시되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김남기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부문 대표는 “2011년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과 2012년 유럽 재정위기로 변동성이 커지면서 레버리지와 인버스 ETF의 부흥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이후 ETF 시장은 별다른 부침 없이 꾸준히 성장을 이어갔다. 스마트베타 ETF와 토털리턴(TR) ETF 등 다양한 ETF가 등장했다. 2020년 ETF가 대세 투자 수단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시장 수익률을 웃도는 ‘알파’를 원했던 개인 투자자들은 2차전지, 메타버스, 친환경 등 다양한 테마를 장착한 ETF에 열광했다. 펀드매니저 재량으로 추가 수익을 추구하는 액티브 ETF까지 가세하면서 시장은 더욱 커졌다.
전문가들은 국내 ETF 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배재규 한국투자신탁운용 대표는 “투자의 편리함부터 분산투자 효과까지 장점을 두루 갖춘 ETF 시장은 여전히 운용업계의 미래 먹거리”라며 “연금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을 시작한 만큼 ETF의 쓰임새가 다양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